티스토리 뷰

인류가 나침반을 발명한지는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지금도 유용하게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사용 할 일이 없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스카우트 활동이나 군대 시절 나침반 보는법을 배웠던 기억은 있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지도앱을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방향도 알 수 있고 길도 찾을 수 있습니다.


 



지도앱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거의 정확하게 확인을 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기능도 있어서 지도앱을 활용해도 나침반 보는법을 알아두는 분들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나침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드물지만 산행을 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 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면 지도와 나침밤을 가지고 길을 찾을 수는 있어야 합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고 사실 거의 활용 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도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아 갈 때는 위와 같이 진행선과 거리 측정자, 각도 표시 눈금이 있는 나침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인 경우에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전에는 실생활에 많이 사용이 되었지만 지금은 특별한 활동이나 체험외에는 지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일등은 거의 하지 않고 정밀한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해결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나침반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은 기본 상식은 나침반에는 동서남북 4개의 방향 표시가 있고 방향침은 항상 북쪽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북쪽 방향 표시인 N자와 방향침을 일치 시키면 북쪽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나머지 동쪽과 서쪽 그리고 남쪽은 당연히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지금은 스마트폰의 지도앱을 이용하면 정확한 위치와 거리 그리고 이동방법과 소요시간까지 확인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이 나침반 보는법을 알아두면 방향에 대한 정보는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나침반 확인을 할 때는 손 위에 놓고 확인을 하는 것 보다 평평한 바닥에서 확인을 하는 것이 정확하고 주변에 자성이 있는 물질을 가까이 두지 말아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