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끔 방송을 보다보면 중고차 구입 시 사고차량 여부를 모르고 구입했다가 낭패를 보았다는 분들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자동차 전문 지식이 있다면 직접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일반 소비자에게는 현실적으로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이력조회 방법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사고 여부에 대해서 대부분 확인이 가능하지만 이전 운전자가 직접 사비로 수리를 한 경우에는 확인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카히스토리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자동차 사고이력조회는 전체의 사고 조회가 아닌 보험사고에 한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사고가 나면 보험처리를 하기 때문에 조회가 가능하지만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고려을 하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조회를 위해서는 정보 이용료가 발생을 합니다. 1건 조회는 24시간동안 자유롭게 확인을 할 수 있으며 회원 또는 본인 인증을 한 경우에는 최근 1년 사이에는 5건까지 할인이용료로 가능합니다.

 

 

사고이력정보 보고서를 통하여 사고유무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고의 종류에 따라 각각 표시가 되며 보상으로 처리 된 수리비 내역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동차의 기본 정보에서 처음 보험 가입한 날짜가 나오므로 연식과 비교하여 생각 해 볼 수 있습니다. 영업용등의 사용이 되었는지 여부등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조회 한 자동차의 소유자 변경에 대해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 특성에 따라 자동차 상태가 바뀔 수 있다고 가정하면 아무래도 여러 운전자가 사용을 한 것보다 변경이력이 없을수록 좋다는 주변의 평가입니다.

 

 

특수 사고에 대해서 날짜와 사고 종류도 표시가 됩니다. 침수 된 차량여부도 위와 같이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침수가 되더라도 보상을 받지 않았다면 이력 조회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자세한 사고 내역도 사고별 확인이 가능합니다. 내차와 상대방 차량의 피해에 대해서도 수리비용으로 유추도 가능하기도 합니다. 자동차 사고이력조회는 유무 여부만 확인을 한다면 상관이 없지만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조회 시 자동차를 잘 아는 분과 함께 확인을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