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군대에 있을 때 헌혈차가 오면 간식과 선물을 받으려고 헌혈을 자주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는 막연히 참여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마다 혈압이 낮은 편이라고 자주 이야기를 들었던 것 같습니다. 기회가 되어 헌혈 조건과 헌혈 후에 주의사항에 대해서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뜻으로 헌혈 참여를 하고 싶어도 모든 사람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참여를 위해서는 헌혈 조건이 맞아야 참여가 가능합니다. 조건이 되지 않아 참여를 못하는 경우에도 마음만은 헌혈 참여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헌혈의 자격 기준은 남성과 여성이 신체적 차이가 나기 때문에 다른 기준을 적용 받습니다. 또한 헌혈의 종류에 따라 가능한 나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전혈의 경우에는 만 16세부터 참여가 가능하고 69세, 혈장성분의 경우에는 만 69세는 같지만 시작 가능 나이가 만 17세입니다. 혈소판성분과 혈손판혈장성분의 경우에는 만 17세부터 59세까지 가능합니다. 남자는 체중이 최소 50kg, 여자는 최소 45kg이상 나가야 합니다.

 

 

기본 조건에는 간단한 건강진단을 통하여 기준 이상의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혈압의 경우에는 수축기는 90에서 179이하, 이완기는 100미만이 유지가 되어야 하고 체온은 37.5도 이하로 열이 많은 경우에도 불가합니다. 맥박은 분당 50에서 100사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혈액의 종류에 따라 헌혈을 하는 간격 시기도 정해져 있습니다. 전혈의 경우에는 최소 2개월이 지나야 하고, 나머지의 경우에는 최소 14일이 지나야 다음 헌혈에 참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혈 헌혈은 5회, 기타 헌혈의 경우에는 24회 횟수를 1년내에 초과 할 수 없습니다.

 

 

외국으로 출국한 경험이 있다면 1개월 이내에는 참여가 불가하고 감염병과 기타 질병을 앓았던 적이 있다면 완치를 받고 일정기간이 지나야 합니다. 최근에 예방접종을 한 적이 있다면 종류에 따라 24시간, 3주 그리고 1개월 이후 가능하고 치료를 위한 약물의 경우에도 해당약물마다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과거 수혈을 받은 적이 있다면 1년 이후부터 참여가 가능하고 임신과 분만 또는 유산의 경우에는 6개월 이후에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안내 된 모든 헌혈 조건에 부합한다면 본인의 신분증을 지참 후 헌혈을 할 수 있습니다. 헌혈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물 보충을 평소보다 많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급적이면 가벼운 샤워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