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으로 각종 증명서를 발급이 가능해지므로 해당 기관을 방문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에 민원 해결을 위해 방문을 하는 경우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을 확인하고 알아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먼저 인터넷을 이용하여 발급을 위해서는 현재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크롬 브라우져에서는 이용이 불가하니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이용을 해야 합니다. 최근에 윈도우 10에서 이용이 가능한 엣지 브라우져 역시 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먼저 발급에 필요한 순서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제증명발급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과 비회원 구분없이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모두 발급이 가능합니다. 비회원의 경우에는 순서상에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항목이 추가됩니다.

 

 

 

보건증은 건강진단결과서로 불리며 방문한 보건기관에 따라 원본과 재발급등 발급형태에 따라 보건기관마다 다른 기준이 적용 됩니다. 모두 발급이 가능한 곳이 있는 반면에 원본만 발급이 가능한 곳, 재발급만 가능한 곳등으로 나우어져 있으니 확인 후 발급형태에 따라 해당 보건기관에 방문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검색창에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검색하면 G헬스 공공보건포털이 검색이 가능합니다. 해당 사이트 안내에서 제증명발급을 선택하면 발급을 위한 화면으로 바로가기가 가능합니다.

 

 

발급을 위해서는 컴퓨터와 연결 된 프린터와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준비되어야 합니다. 프린터의 경우에는 회사등에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유프린터의 경우에는 발급이 제한이 됩니다. 입력 시 개인정보와 인증서 소유자은 동일해야만 가능합니다.

 

 

발급 단계 전 개인정보입력과 본인 확인에 대한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급 서비스를 이용을 할 수 없습니다. 만 14세미만의 경우에는 보호자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도 참고해 두어야 합니다.

 

 

보건기관을 찾기 위해서는 주소와 보건기관명을 선택하여 검색이 가능하지만 보통 보건기관의 이름 앞에 지역이름이 포함 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건기관명으로 검색하는 방법이 편리 할 수 있습니다.

 

 

구분에서 보건기관명을 우선 선택하고 보건기관 구분에서 보건의료원, 보건소, 분소와 지소를 구분하여 선택을 합니다. 임의로 선택하여 보건증 인터넷 발급은 불가하고 방문한 보건기관을 선택해야만 발급까지 가능합니다. 찾기에서 방문한 보건기관을 선택했다면 알림창에서 원본과 재발급 등 발급형태 가능여부를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발급형태가 있다면 공인인증서 인증을 받고 수수료 결제 후 발급을 받으면 됩니다.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아쉽지만 시간을 내어 해당 보건기관을 방문하여 발급이 가능합니다.

 

 

댓글